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 55회 SQLD 합격 후기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2024년도 마지막 시험입니다.)

 

[데이터자격시험 결과확인] 1과목 20점, 2과목 48점

 

저는 현재 컴퓨터공학과를 졸업 할 예정인 대학생으로 "전공자" 입니다.

(하지만, 점수는 전공자답지 못하죠.. ㅎ 제가 만만하게 본 것이 화근이 되어 점수는 아슬아슬하게 턱걸이로 합격하였습니다..)

 

결론만 먼저 말씀드리자면, 정보처리기사와 다르게 비전공자분들은 오랜 시간과 공부량으로 승부를 보셔야 할 것 같고,  전공자여도 SQL을 직접 다루지 않는다면 여유롭게 준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먼저 공부 방법에 대해 얘기하자면, 저는 정보처리기사 공부 및 학교 수업, 프로젝트 등에서 sql을 조금 다뤄봤기에 기간은 2주로 잡았습니다.

(사실 3주 전부터 노랭이 사고, 데이터 전문가 포럼 카페를 통해 홍쌤 강의까지 정해두고 공부 준비를 끝냈는데.. 어쩌다보니 일주일은 그냥 놀았습니다..ㅎㅎㅎ 여러분은 그러지마세요..)

 

저는 문제를 많이 풀고 오답하며 이론이 외워지게 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도 노랭이 문제를 바로 풀었는데 이때까지만 해도 저는 노랭이에 이론이 하나도 없고 문제가 적은지 몰랐습니다.

그래서 잠시 노랭이를 미뤄두고 홍쌤 이론 강의를 먼저 봤습니다.

홍쌤 강의는 제일 최근에 올라와있는 과목별 이론 강의와 개정되어 강의에 자세하게 다루지 않은 PIVOT, UNPIVOT, 정규표현식 강의를 따로 찾아서 더 봤습니다. 

 

이후에 노랭이를 다시 풀기 시작하고 문제 풀이와 오답만 쭉 했습니다. 이렇게 1회독을 끝내고,

다시 홍쌤 강의로 넘어와 기출문제 강의를 봤습니다.

이때, 기출 문제집을 파는지 모르고 일일이 강의를 멈춰가며 문제 풀이를 했습니다..ㅜ 

얼마 안하니 여러분은 꼭 구매해서 편히 푸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제가 많이 틀리는 문제를 위주로 데이터 전문가 포럼에 다른 사람들이 올린 문제들을 풀어봤습니다.

이렇게하면 이기적, 유선배 같이 사지않은 교재의 문제도 풀 수 있어서 유용했습니다.

 

여기서 문제는 모의고사를 풀 때, 시간도 여유롭고 2과목도 나름 괜찮았는데 1과목에서 계속 과락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시험보기 이틀 전에 부랴부랴 1과목도 챙기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수기 작성이 좋아서 에이포 용지에 계속 틀리는 것들을 적고 여러가지 펜을 돌려가며 막 밑줄을 그으며 용지가 너덜너덜해지게 그냥 계속 읽었습니다.

하다보면 같은 문제가 여러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어서 더 좋았습니다.

 


 

시험장에서 시험 본 경험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자면, 저는 시간이 매~~우 부족하여 반에서 제일 마지막으로 나가고 1시간 30분도 꽉꽉 채워서 나갔습니다.

모의고사 때는 1시간이면 다 풀었는데 시험장에 가면 OMR도 따로 작성해야 하고, 헷갈리는 문제들을 넘어가면 다시 찾고 하는 부분에서도 시간을 잡아 먹었을 뿐더러 그냥 문제 자체가 굉장히 헷갈리고 난해했습니다.

 

SQLD 강의를 하시는 홍쌤께서 올린 후기를 보면 아래와 같이 이번 55회가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홍쌤 작성글

 

문제를 풀며 ROLLUP, GROUPING SET 문제가 많이 나오기에 완벽하게 이해하고, 시험 당일에 가는 길에 공부를 많이 못한 비전공자 친구에게 설명을 하고 시험을 봤습니다.

근데 역시나 시험 문제에 굉장히 헷갈리게 나오고 2문제(?) 정도 나왔습니다. 

(이 2문제가 아니었으면 어떻게 됐을 지 정말 모릅니다..)

 

제가 하고픈 말은 아래에서도 언급을 할 것이지만, 문제 유형은 굉장히 비슷하고 겹칩니다. 

하지만 제 점수를 보면 2과목에서 오히려 점수가 낮았습니다. 

제일 큰 원인은 시간 문제이고, 그 다음이 이해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2과목은 오답을 확실하게 잡으시고, 문제를 빨리 푸는 연습을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때, 다양한 문제를 접하면서 빨리 푸는 연습을 하면 확실히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작성하다보니 너무 길어졌는데, 이제 정말 간단 명료하게 결론만 말하자면!

  1과목 2과목
유형 • 문제를 풀다보면 문제가 다 비슷함. 
• 암기 필수 ⭕
• 비슷한 문제 상당함. 하지만 끝없이 응용 및 심화될 수 있음.
• 그러므로 이해 필수 
(암기는 몇 문제 한 정 필수)
추천 공부 • 홍쌤 강의 - 이해
• 이론 오답
• 비슷하거나 헷갈리는 또는 반대되는
용어 및 이론 정리
• 홍쌤 강의 및 기출 
• 노랭이 3회독 
• 데이터 전문가 포럼 카페 이용하기

 

저는 처음 시작을 노랭이로 했기에 많이 틀리고 어려웠지만, 그래도 오히려 혼자 이해하려고 노력하며 더 제 것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람들 말에 따르면 노랭이 문제가 굉장히 어려우므로 비전공자분은 유선배를 추천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저는 노랭이를 1회독만 했고, 그렇기 때문에 연계 문제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노랭이에서 연계 문제가 자주 출제되므로 3회독을 추천한다는 글을 보았습니다.

 

각자 자기에 맞는 공부법이 있고, 난이도가 있는 것이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싶어서 다른 분들의 의견도 함께 적어두었고, 이걸 보시는 여러분들에게도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 Recent posts